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업을 운영하고 계시거나 프리랜서로 활동하시는 분들이 꼭 알아야 할 ‘원천세와 원천징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누가? 언제? 어떻게? 납부해야 하는지 헷갈리셨던 분들 많으시죠?
이번 포스팅에서 쉽게 풀어드릴게요! 함께 꼼꼼히 챙겨봐요👍
1. 원천세란 무엇인가요?
"소득을 받기도 전에 세금을 내야 한다고요?"
맞습니다! 원천세는 소득을 지급할 때, 지급자가 미리 세금을 떼어 정부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에요.
즉, 회사나 고용인이 프리랜서나 근로자에게 돈을 줄 때 원천징수한 후 신고·납부해야 한답니다.
사업자라면 이 과정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해요!
1) 원천징수 대상 소득은?
일상에서 쉽게 마주치는 소득이 대부분 해당돼요!
예를 들어:
- 월급, 상여금 등 근로소득
- 강연료, 인세 등 기타소득
-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 인적용역
- 20% 초과 봉사료
- 이자·배당·퇴직·연금소득 등
💡 기타소득:
강연료, 상표권 양도 대가, 원고료 등
👉 (지급액 - 필요경비) x 20% 세율로 계산!
2) 사업소득과 봉사료는?
프리랜서나 전문직처럼 독립적으로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사업소득으로 분류돼요.
💡 사업소득 세율은 지급금액의 3%
봉사료는 음식점 등에서 매출의 20% 초과분도 과세 대상이에요.
💡 봉사료는 지급금액의 5% 원천징수
3) 원천세 신고·납부 시기
✅ 일반 납부: 다음 달 10일까지
✅ 반기별 납부: 20인 이하 소규모 사업자 등
- 상반기: 7월 10일까지
- 하반기: 다음 해 1월 10일까지
온라인은 홈택스에서 간편하게 신고 가능해요!
2. 원천세 실무 궁금증 모음
"일용직, 외부강사, 아르바이트는 어떻게 처리하죠?"
이런 상황, 진짜 많이 헷갈리죠?
국세청이 자주 받는 질문들로 정리해드릴게요!📌
1) 일용근로자 원천징수는?
✔ [(일급여 - 비과세 - 공제) x 6%] = 산출세액
✔ 실제 원천징수세액 = 산출세액 - 55% 세액공제
일용직도 지급명세서 제출 잊지 마세요!
2) 지급명세서는 언제 제출하나요?
소득유형 | 제출기한 |
---|---|
근로/퇴직 | 다음 해 3월 10일 |
기타/이자/배당 | 다음 해 2월 말 |
일용근로 | 다음 달 말일 |
💡 간이지급명세서는 별도 제출 조건 있음!
마무리
자, 지금까지 원천세와 원천징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간한히 요약해보자면
- 지급자는 세금을 미리 떼서 납부해야 하고
- 세율과 신고 마감일은 소득유형별로 다르며
- 지급명세서는 정확히, 제때 제출해야 가산세 피할 수 있어요
사업자라면 꼭 숙지하고, 신고·납부도 미루지 마세요!
'정보 및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총정리 (3) | 2025.07.08 |
---|---|
서울 다자녀 가족, 야구·축구 관람료 할인 혜택 정리 (3) | 2025.07.08 |
아이 안경 20% 할인! 어린이 눈 건강 챙기는 꿀기회 (21) | 2025.05.18 |
임대보증금 보증 문자 안내 확대, 꼭 확인하세요! (5) | 2025.05.17 |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꼭 해야 하나요? 과태료 달라진 점 총정리! (19)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