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가정을 위한 홈헬퍼 지원 서비스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출산 준비부터 자녀 양육, 가사 활동까지 돕는 유용한 복지서비스랍니다 😊
1. 서울시 홈헬퍼 서비스란?
혹시 출산과 육아가 막막한 장애인 가정이 있다면, 서울시의 무료 홈헬퍼 서비스를 주목해보세요! 장애인 가정의 임신·출산과 양육을 전문 돌보미가 도와주는 서비스예요.
1) 출산 준비를 돕는 돌보미
출산을 앞두고 혼자 준비가 막막한 경우 있잖아요.
서울시 홈헬퍼는 출산 2개월 전부터 산모의 건강과 안정된 출산을 지원해줘요. 건강 관리부터 출산 준비물, 산후조리까지 도와주는 든든한 조력자예요 👶
또한 말벗이 되어 산모의 정서적 안정까지 챙긴다고 하니 정말 세심하죠!
🍼 꿀팁: 임신 중 신청하면 최대 월 30시간 무료 이용 가능!
2) 아이 돌봄과 가사 지원까지
"아이 병원 데리고 가는 것도 버거운데, 청소나 밥은 언제 하지?"
이럴 때 홈헬퍼가 만 9세 미만 자녀의 병원 동행, 이유식 준비, 목욕 등을 도와줘요.
특히 만 2세 미만은 더 세심한 케어가 가능하답니다.
📊 이용 시간 참고:
- 신생아 돌봄: 월 최대 120시간
- 100일~4세 미만: 월 90시간
- 4세~9세 미만: 월 70시간
3) 자격 조건과 신청 방법
"모든 장애인 가정이 신청할 수 있을까?"
기본 조건은 서울시 등록 장애인 가정이면서 중위소득 120% 이하예요.
부부 모두 장애인이고 한 명 이상이 중증일 경우 만 12세 자녀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
✅ 신청은 가까운 홈헬퍼 수행기관에 문의!
자세한 안내는 ‘안심돌봄120 (1668-0120)’으로 전화하면 돼요.
📌 실천 팁:
- 자녀 출산 2달 전부터 미리 신청!
- 맞벌이 부부라면 더 유용해요~
2. 홈헬퍼가 되고 싶은 분도 주목!
"출산·육아 관련 자격증이 있는데 어디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
그렇다면 홈헬퍼에 도전해보세요! 현재도 112명이 활동 중이고, 추가 모집 중이에요 👩🍼
1) 어떤 자격증이 필요할까?
베이비시터, 산후 도우미, 보육교사 등 자격증이 있다면 누구나 지원 가능해요.
아이와 가족을 도우며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싶은 분께 딱이죠.
2) 급여와 복지 혜택
시급은 일반 11,030원, 신생아 돌봄은 12,030원이에요.
게다가 다둥이가정은 20% 가산 수당이 붙고,
주휴수당, 4대 보험, 명절 상여금, 교통비까지 지급돼요!
📈 참고:
- 다둥이 가정 파견 시 급여가 쑥쑥~
- 하루 교통비 3,000원 별도 지원
마무리
지금까지 서울시의 장애인 가정 홈헬퍼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 출산 2개월 전부터 양육까지 무료 지원!
- 신청 자격은 중위소득 120% 이하의 등록 장애인 가정
- 아이 돌봄부터 가사, 말벗까지 맞춤 케어 가능해요
혹시 주위에 해당되는 분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
또 홈헬퍼로 일하고 싶은 분도 도전해보시길 추천해요!
'정보 및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국도에 스마트복합쉼터 5곳 신규 조성! (7) | 2025.04.16 |
---|---|
서울형 키즈카페 200개까지 확대! 운영 시간도 연장 (6) | 2025.04.16 |
2025 청년매입임대주택 경쟁률 341:1, 꼭 확인해야 할 준비 서류! (11) | 2025.04.15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전환 및 대출 완벽 가이드! (15) | 2025.04.15 |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예년보다 많고 앞으로도 풍부할 전망! (2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