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서 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집 구할 때 진짜 설렘 반 걱정 반 입니다.
특히 다세대 주택은 전세, 월세로 많이 들어가는데
계약할 때 뭘 확인해야 하는지, 나중에 문제 생기면 어쩌는지
이거 잘 모르고 계약하면 나중에 피곤해 질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다세대 주택 임대차 계약할 때 필수로 확인해야 할 것들 정리해보겠습니다!
😃 이사 준비할 때 다들 이런 걱정 해보셨죠?
솔직히 집 보러 갈 때는 막 설레고
집주인이 "좋은 조건에 싸게 해드릴게요~" 하면
그냥 빨리 계약하고 싶어 질 수도 있습니다.
근데 혹시라도 등기부등본 안 보고 들어갔다가
나중에 경매로 넘어가면 큰 일이죠?! 😱
그래서 오늘은 계약할 때 무조건 체크해야 할 리스트 정리해드릴게요!
이거 안 보면 진짜 큰일 납니다!!! 🚨
1. 📜 등기부등본, 계약 전에 꼭 확인해야 함!
다세대 주택 계약할 때 제일 중요한 게 뭔지 아십니까?
바로 등기부등본 확인!
등기부등본에서 뭘 봐야 하냐면
- 집주인이 진짜 집주인 맞는지
- 근저당 설정(대출)이 얼마나 있는지
- 집이 이미 경매로 넘어가진 않았는지
위 3가지는 기본 중 기본!
특히 근저당 많으면 조심해야 합니다
나중에 은행이 먼저 돈 받아가고, 세입자는 보증금 못 받을 수도 있어요 😨
2. 🏠 주택의 상태, 직접 꼼꼼히 확인하기
집주인이 “완전 깨끗해요~”라고 말한다고 다 믿으면 안되요!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문제 있으면 미리 말해둬야 나중에 문제 안 생겨요.
✅ 수도, 전기, 가스 정상 작동하는지
✅ 벽지, 장판, 곰팡이 여부 체크
✅ 화장실, 싱크대 누수 확인
✅ 방음 상태 (이웃집 소음 테스트)
이거 대충 보면 나중에 살다가 고생함…
특히 곰팡이 많으면 습기 심해서 건강에도 안 좋음.
3. 💰 계약금, 잔금, 전세보증보험 체크!
돈 문제는 언제나 신중해야 합니다!
특히 보증금을 지키려면 전세보증보험 꼭 가입하는 게 좋습니다.
💡 계약금 → 중도금 → 잔금 순서로 지급(보통은 중도금 없이 진행을 많이합니다.)
💡 전세라면 반드시 전세보증보험 가입
💡 월세라면 관리비 포함 여부 체크
요즘 전세 사기 많아서 무조건 전세보증보험 가입 추천!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지 계약 전 미리 체크하시면 좋아요.
4. 📄 계약서 작성할 때 절대 놓치면 안 되는 것
계약서 쓸 때 무조건 꼼꼼하게 확인해야 함다!
특히 구두 약속 믿지 말고, 무조건 계약서에 명시!
✏️ 집주인 & 세입자 실명 기재
✏️ 보증금, 월세, 계약 기간 정확히 적기
✏️ 중도 해지 시 위약금 규정 넣기
✏️ 도배, 장판 등 수리 비용 부담 주체 명확히
✏️ 특약사항(애완동물, 주차 가능 여부 등)
이거 안 써놓으면 나중에 “그런 말 한 적 없는데요?”
이렇게 나올 수 있어요… 😵💫
5. 🏢 공동주택 관리비 & 이웃 체크
다세대 주택은 관리비가 꽤 나올 수도 있음!
그리고 이웃들 성향도 중요함다.
✅ 관리비 항목 정확히 확인 (청소비, 주차비 등)
✅ 소음 심한지 체크 (특히 윗집 층간소음🔥)
✅ 주차 공간 확보 여부
집이 아무리 좋아도 윗집이 맨날 뛰어다니면 미칩니다.
진짜로 층간소음 스트레스 엄청나요.😡
6. 🚪 이사 날짜 & 전입신고 필수!
마지막으로 이사 날짜 정하고, 확정일자 신고 및 전입신고 꼭 하기!
확정일자 신고 및 전입신고해야 대항력이 생겨서 내 보증금 보호할 수 있어요.
🏡 이사 후 14일 이내에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 필수
🏡 전세라면 확정일자 필수로 받기
🏡 주소지 변경되면 우편물 변경 신청도 하기
여기까지 확인하면 다세대 주택 계약 완벽 준비!
이제 계약서 쓸 때도 더 이상 걱정 없으시겠죠? 😉
❓ 다세대 주택 계약할 때 많이 하는 질문들
🔹 전세랑 월세 중 뭐가 더 유리할까요?
👉 보증금이 충분하면 전세가 더 낫습니다. 월세는 매달 나가는 돈이 많아서 부담될 수 있어요.
하지만 전세는 보증금을 돌려받는 과정이 복잡할 수도 있어서 전세보증보험 가입 필수!
🔹 계약서 없이 돈만 주고 들어가도 되나요?
👉 절대 안 됩니다!!! 😡 계약서 없이 들어갔다가 나중에 보증금 못 돌려받는 경우 많아요.
무조건 계약서 작성하고,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아두세요!
🔹 다세대 주택에서도 전세보증보험 가입할 수 있나요?
👉 네! 하지만 근저당이 많으면 가입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계약 전 미리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 계약 전 꼭 확인하고, 안전하게 이사하세요!
이제 다세대 주택 계약할 때 주의할 점 확실히 아시겠죠?
잘 모르고 계약하면 큰 돈 날릴 수도 있는 게 부동산 계약이라서
계약서부터 전세보증보험, 관리비, 층간소음까지 꼼꼼하게 확인하는 게 필수입니다!
'정보 및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아타운 뜻과 장점과 단점 (2) | 2025.03.15 |
---|---|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정의 및 장점과 단점 (0) | 2025.03.15 |
다중주택 장점과 단점 및 임대차 시 주의할 점 (8) | 2025.03.14 |
신속통합기획 선정, 부동산 개발의 판도를 바꾼다?! (0) | 2025.03.14 |
월세 계약 전 확인해야 할 사항 (2) | 2025.03.13 |